미술관의 행동대장 《관계 잇기》 & 《바램의 바람》, (2023, 북서울시립미술관) |
|
|
🧡 안녕하세요, 님께 ‘그린레시피랩’을 소개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그린레시피랩입니다. ‘그린레시피랩 (이하 GRL)’은 지속가능한 미술 실천을 위한 친환경 재료 및 전시 방법론을 연구하고 공유하는 여성 예술인 콜렉티브입니다. 2024년 현재 국내외 미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8명의 핵심 회원과 26명의 일반 회원이 함께하고 있으며, 미술계 전반에 지속가능성 고민과 실천의 필요성을 알리고 있어요. 다양한 활동과 함께 인스타그램에서 비건식당, 친환경 관련 전시 등을 소개하고 있어요!
💬 GRL의 멤버는 프로젝트 참여도에 따라 일반회원과 핵원으로 나뉘는데, 일반회원은 워크랩 할인,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 워크랩 진행 기회 제공, 정보 공유 및 스터디, 아카이브 접근 권한 부여, 내부 프로젝트 기획시 각종 지원, 등을 제공 받아요. 핵원은 단체전시 진행, 외부 전시 및 행사 참여 기회 제공, 내부 행사 진행 기회 우선 제공, 등의 혜택을 추가로 제공 받습니다.
|
|
|
《공장놀이 Replant》, (2023, 서울대학교 파워플랜트) 전시전경
《Green Symposium》, (2023,챔버1965) |
|
|
🧡 GRL의 활동에 대해 조금 더 말씀해 주세요.
💬 우선, GRL 맴버들의 자발적 스터디인 ‘온라인랩실’이 있어요. 현재는 비거니즘, 대안전시, 자연물, 종이, 점토 5개 스터디가 운영중이며 연구를 이어가고있어요. 멤버들이 참여 전시 및 행사를 홍보하고 서로의 작업실과 전시를 방문하는 ‘랩투어’로 네크워킹 활성화를 하고있어요.
그리고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거나 전문 기관에 방문하는 워크숍 및 세미나‘워크랩’을 기획해 진행하고, 1년간의 활동을 돌아보며 대담과 발제를 통해 회원들의 활동을 알리는 ‘심포지엄’을 연말에 개최하고있어요. 10일마다 한 명씩 돌아가며 지속가능성 관련 다양한 지식과 자료를 공유하는 ’콘텐츠 릴레이‘를 통해 함께 성장합니다.
|
|
|
《친환경 소재 도슨트 & 씨드 오브제 만들기》, (2024, CONC) 워크랩 |
|
|
🧡 최근 특별한 워크랩을 진행하셨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어떤 워크랩이었나요?
💬 첫 워크랩은 자재라이브러리 콩크와 함께 했어요. 콩크의 친환경 재료 도슨트를 진행하고, 폐지를 재활용해 종이를 제작하는 정원 작가와 씨드페이퍼를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어요.
5월에는 최상호 학예연구사와 GRL 대안전시 스터디 팀이 지속가능한 전시 기획과 대안전시 이슈에 대해 이야기하는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했어요. |
|
|
《Green Symposium》, (2023,챔버1965) |
|
|
🧡 ‘지속가능성’에 관한 다양하고 알찬 미술 콘텐츠를 만들고 있는것 같아요. 이런 컨텐츠들을 만들게 된 계기와 목표가 있을까요?
💬 친환경 미술 재료 연구의 경우 생물/화학과 같은 과학적인 지식이 필요한데, 이와 관련된 전문 인력과 기술적 자원이 부족해 미술작가 개인이 재료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이 더디고 어렵다고 생각했어요.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기회와 실험공간의 부재가 아쉬운 점으로 남아, 이번 해부터 적극적으로 워크랩을 진행하며 전문 기관을 찾고있어요.
💬 미술 창작과정 뿐만 아니라 미술계 전반에 정책을 제안하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공론화의 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이런 과정을 잘 기록하여 이후에는 출판물 등의 형식으로 가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
|
|
《친환경 소재 도슨트 & 씨드 오브제 만들기》, (2024, CONC) 워크랩 |
|
|
🧡 GRL의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 6월30일 일요일,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시드뱅크 견학과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예정되어있어요. 시드볼트센터 연구원분들과 포스트아포칼립스에 대비한 인류 이야기와 기후위기, 환경 문제를 다루는 미술계의 관점을 나누어보려고 해요. 신청 마감까지 몇 자리 남지 않았으니, 많은 관심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아트 포 랩의 <2024 사각지대> 전시공모 기획에 선정되어 7월13일~8월4일 《RE:Materials》라는 전시를 진행하게 되었어요. 친환경 재료와 기술을 적용한 작품을 선보이고 대안적 전시로서의 모델을 제시하려 해요. 창작부터 전시 이후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 및 폐기물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미술계에서 관성적으로 사용해왔던 미술 재료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것이 전시의 목표에요.
💬 GRL은 연구했던 친환경재료나 진행과 결과를 외부 참관자들과 함께 공유하고 이야기 나누는 심포지엄을 연말마다 진행하고 있어요. 이번 해의 심포지엄은 12월 21일~22일 서울예술인 센터에서 진행되는데요, 다양한 친환경 재료를 체험할 수 있는 작가들의 ‘릴레이 워크랩’을 함께 진행할 계획이에요.
심포지엄을 통해 재료연구를 진행했던 자세한 프로세스의 성공과 실패, 세미나 내용에 대한 토론, 앞으로의 팀의 비전과 발전 방향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술을 어떻게 지속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 논의하는 대화의 장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
|
그린레시피랩의 멤버
운영 멤버: 김한비, 이산오, 지희경, 한이경
핵원 멤버: 김현희, 송윤지, 이한나, 정원
그린레시피랩의 주요 활동
전시
2023 서울특별시 기후위기 캠페인 《공원 행동 특공대》, 보라매공원
2023 《공장놀이 Replant》, 서울대학교 파워플랜트
2022 《Green Picnic》, 북서울 꿈의 숲 월영지 & 니스 Promenade des Anglaises & 베를린 Uferweg
워크숍 & 세미나
2024 동시대 대안전시 이슈와 지속가능한 범위찾기, Green Recipe Lab × 최상호 학예연구사
2024 지가미지가미#1: 동그란 책상, 부산현대미술관
2024 친환경 소재 도슨트 & 씨드 오브제 만들기, Green Recipe Lab × CONC
2023 미술관의 행동대장 《관계 잇기》 & 《바램의 바람》, 북서울시립미술관
심포지엄
2023 《Green Symposium》, 그린레시피랩 × Louise The Women
2022 《Green Symposium》, 그린레시피랩 × 재단법인 숲과나눔 × Louise The Women
|
|
|
발행 루더우레터
김의선, 안진선, 이강선, 이산오, 전영주, 최지원
루이즈더우먼
💰후원 계좌 카카오뱅크 3333-27-2485869 안진선(루더우레터)
루더우레터 내 모든 사진과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에게 있으며, 허가없이 활용 할 수 없습니다.
|
|
|
|
|